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뮤지컬 <웃는 남자> 미소 뒤에 숨겨진 진실

by square-candy 2024. 9. 6.
반응형

출처 https://emkmusical.com (웃는 남자, 2022, 제작사 EMK뮤지컬)

 

서론

뮤지컬 <웃는 남자>는 대한민국에서 제작된 창작 뮤지컬로, 빅토르 위고의 소설 '웃는 남자(L'Homme qui rit)'를 원작으로 삼아 무대화되었다. 이 작품은 17세기 영국을 배경으로, 주인공인 그윈플렌을 통해 사회적 불평등, 권력의 부패, 그리고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EMK뮤지컬컴퍼니가 제작을 맡은 이 작품은 프랭크 와일드혼(Frank Wildhorn)이 작곡, 잭 머피(Jack Murph)가 가사를, 제이미 맥다니엘(Jamie McDaniel)의 안무와 로버트 요한슨(Robert Johanson)의 극본과 연출로 탄생하였다. <웃는 남자>는 이처럼 세계적인 창작진과 한국의 뮤지컬제작사가 결합하여 탄생한 대작으로, 한국 뮤지컬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윈플렌의 이야기

뮤지컬 <웃는 남자>는 17세기 영국을 배경으로, 기이한 미소를 지닌 남자 그윈플렌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어린 시절, 알 수 없는 이유로 얼굴에 영구적인 미소를 남기는 끔찍한 수술을 받게 된 그윈플렌은 외모 때문에 사람들에게 조롱받지만, 자신을 사랑해 주는 소녀 데아와 함께 극단에서 공연을 하며 살아간다. 

이야기는 그윈플렌이 그동안 몰랐던 자신의 출생의 비밀을 알게 되면서 시작한다. 그는 사랑하는 사람들과 자신의 정체성 사이에서 갈등하며, 사회적 부조리와 권력의 탐욕을 마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그윈플렌은 자신의 상처를 받아들이고, 진정한 자유와 자신의 인간적인 존엄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그의 대표적인 솔로곡 "웃는 남자"는 그가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이며 내적 갈등을 표출하는 중요한 곡이다. 이 곡은 그윈플렌의 깊은 상처와 고통을 표현하며 인간적으로 살고 싶은 그의 간절한 바람을 담고 있다. 그의 웃음은 단순한 미소가 아니라 사회적 부조리와 그로 인한 상처를 상징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데아와의 관계

뮤지컬 <웃는 남자>에서 사랑은 치유의 매개체로 등장한다. 그윈플렌은 시각 장애를 갖고 있는 소녀 데아와 함께 자라며 그녀의 순수한 사랑을 받는다. 데아는 그윈플렌의 외모가 아니라 그의 내면을 사랑하고 그윈플렌 역시 데아를 통해 자신의 상처를 치유받는다. 

데아와 그윈플렌이 함께 부르는 "그 눈 속의 나"는 이 둘의 관계를 잘 보여주는 곡으로, 데아의 눈을 통해 그윈플렌이 자신을 바라보는 방식이다. 이 곡은 두 주인공의 사랑과 신뢰를 표현하며, 보이는 모습이 아닌 내면의 아름다움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관객들은 이 장면을 통해 사랑의 힘이 얼마나 큰 치유와 구원의 힘을 가지고 있는지 느낄 수 있다. 

 

조시아와의 대립

이 작품은 단순히 개인의 이야기에만 머물지 않고, 사회적 부조리와 권력의 부패를 강하게 비판한다. 그윈플렌은 자신이 귀족 가문 출신임을 알게 되면서 권력과 부를 가지게 되지만, 이는 그에게 또 다른 형태의 감옥이 된다. 그의 웃음은 상류층이 만들어낸, 보이는 것에 치중하는 사회의 가식적인 모습으로 볼 수 있다. 

뮤지컬의 후반부에서 그윈플렌은 어린 시절부터 자신을 키워준 조시아와 대립하면서 권력과 부의 허망함을 깨닫게 된다. 이때 등장하는 "권력의 춤"은 귀족 사회의 부패와 그로 인해 고통받는 이들의 현실을 묘사한 곡이다. 이 곡은 무대 위에서 화려한 군무와 웅장한 음악으로 그윈플렌이 가진 갈등과 상류사회에 대한 회의를 강렬하게 표현한다. 

 

결론

뮤지컬 <웃는 남자>는 화려한 무대와 음악 안에 담긴 깊은 메시지로 관객들에게 큰 울림을 준다. 그윈플렌의 영원한 웃음은 신체적 고통만이 아니라, 부패한 사회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그윈플렌이 결국 자신의 상처를 받아들이고 자유를 찾는 과정은, 현대 사회에서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들에 대한 은유로도 해석할 수 있다. 권력과 부의 허망함, 외모와 내적 갈등, 그리고 사랑과 구원의 힘은 이 작품을 더욱 특별하게 만드는 요소들이다. 한국 뮤지컬의 대표작 중 하나인 <웃는 남자>는 그 깊이 있는 스토리와 감동적인 음악으로 앞으로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을 것이다. 

 

 

  • 배우 박효신과 수호(김준면)등은 그윈플렌 감정에 너무 몰입해 공연 중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는 일화가 있다. 
  • <웃는 남자>의 무대 디자인과 조명은 큰 주목을 받았는데, 그윈플렌의 트라우마와 내면적 갈등을 표현할 때 사용된 영상과 조명 기술이 관객들의 감정 이입을 도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