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뮤지컬 <Hedwig and the Angry Inch (헤드윅)> 경계를 허무는 로큰롤

by square-candy 2024. 8. 28.
반응형

 

서론

뮤지컬 <헤드윅(Hedwig and the Angry Inch)> 성 정체성과 자아 탐구를 주제로 한 독창적인 로큰롤 뮤지컬로, 1998년 오프 브로드웨이 초연 이후 전 세계적으로 많은 찬사를 받았다. 이 뮤지컬은 음악감독 스티븐 트래스크(Stephen Trask)와 영화감독이자 배우인 존 카메론 미첼(John Cameron)의 우연한 만남에서 시작되어 작품이 탄생되었고 이후 영화와 여러 무대 공연으로도 재탄생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헤드윅>은 평범한 성 역할과 사회적 규범에 반하여, 자신만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주인공 헤드윅의 여정을 그리고 있다. 

 

헤드윅의 이야기

<헤드윅>은 동독 출신의 성전환 가수 헤드윅이 자신의 삶과 사랑에 대해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본명이 한셀 슈미트(Hansel Schmidt)였던 그는 미국 군인 루터(Luther)와의 결혼을 위해 성전환 수술을 받게 되지만 수술이 잘못되어 여자도 남자도 아닌 불안정한 상태로 남게 된다. 로큰롤과 맥도널드가 있는 자유의 세계를 꿈꾸던 헤드윅은 루터를 만나 함께 미국으로 건너가지만 결국 버림을 받고 로큰롤 가수로 새 삶을 시작하게 된다. 하지만 미국에서 만난 토미에게 자신의 음악과 삶을 빼앗기고 그에 대한 배신감과 분노에 휩싸이게 된다. 

"The Origin of Love"는 헤드윅이 자신의 정체성과 사랑을 찾아가는 여정을 담고 있다. 이 곡은 플라톤의 '연애의 기원'이라는 신화를 바탕으로 -인간은 자신의 다른 반쪽을 찾기 위해 끊임없이 갈망한다-를 표현한다. <헤드윅>은 이 곡을 통해 그녀가 사랑과 자아를 찾기 위해 얼마나 갈망하는지 보여준다. 

 

로큰롤의 힘

<헤드윅>의 음악은 이야기의 정서와 메시지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티븐 트래스크가 작곡한 이 뮤지컬의 사운드트랙은 1970년대와 80년대의 글램 록과 펑크 록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각 곡들은 헤드윅의 감정과 경험을 강렬하게 전달한다.

"Wig in a Box"와 "Midnight Radio"에서 헤드윅의 내면적 갈등과 해방감을 극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Wig in a Box"는 가발과 메이크업을 통해 새로운 자아를 창조하는 과정을 그린 곡으로 헤드윅이 자신의 트라우마와 절망 속에서 자신을 찾아가는 내용이다. 이 노래는 헤드윅이 과거의 상처를 극복해 나가는 장면을 그리며 새로운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과정까지 보여준다. "Midnight Radio"는 헤드윅이 자신의 이야기를 마무리하며 자신을 완전히 받아들이고 해방되는 순간을 보여주고 있다. 이 곡은 극의 피날레를 장식하며 관객들에게 깊은 여운을 남긴다. 

 

자아정체성

<헤드윅>은 성 정체성과 자아탐구, 그리고 사회적 규범에 대한 도전이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 어린시절 형성하지 못한 자아 정체성을 찾으려 노력하는 모습에서 자신을 규정하는 것은 남이 아니라 바로 자기 자신이라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헤드윅과 토미 노시스의 관계에선 배신과 분노, 그리고 절망이라는 복잡한 감정들이 난무하지만 그 안에서 자기 자신을 용서하고 완전하지 못한 자신을 받아들이는 법을 배우게 된다. 자기 자신을 찾는 여정은 때로는 고통스럽지만 궁극적으로는 자신을 해방하는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결론

<헤드윅>은 스티븐 트래스크의 감동적인 음악과 존 카메론 미첼의 대담한 이야기로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 헤드윅의 이야기는 성 정체성, 인간관계의 복잡함, 그리고 자아를 찾아가는 내용으로 관객들에게 자신의 삶과 정체성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는 기회를 준다. 

이 뮤지컬은 로큰롤의 강렬한 에너지와 자유와 해방을 갈망하는 모든 이들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 일으킨다. 경계를 넘나드는 <헤드윅>의 이야기는 새로운 세대의 관객들에게도 끊임없는 사랑을 받고 있다. 

만약 자아 탐구와 정체성에 대한 깊이 있는 이야기를 로큰롤의 강렬한 사운드와 함께 하고 싶다면 <헤드윅>을 반드시 보기를 추천한다. 

 

 

반응형